홈
l
기사제보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관리자
l
기사작성
l
공지사항
|
Q&A
2021년 01월 24일 일요일
최신기사
노후에 할 일을 찾았다
날이 조금 풀리면서 갇혔던 몸에 몸살이 날 지경이..
바람의 언덕에 올라 건강을 다지다
겨울답지 않은 포근한 날씨에 미세먼지도 없어 나..
책 읽기에 몰입하는 것이 힐링
요즘처럼 외출이 어려운 시기에 책 읽기에 몰입하..
코로나19 아랑곳없이 통도사의 ‘자장 매’(慈臧梅) 피다!
코로나19로 나라 전체가 멈춰 선 듯하다. 양산 통..
언제나 변화무쌍한 돌봄 현장
돌봄 노동자들의 모임 문집 ‘글 메아리’ 4집은 ..
장애인 위한 아름다운 마음
낭만의 도시 춘천 겨울소경
허황옥 황후와 김해 장군차
날씨 풀리자 밖으로 몰려나와
백두산 호랑이 한라산에 오다
구술과 사진으로 기록한 제주의 생활 문화
해변 무대가 그립다
국내 최초 실내식물 특화 식물원
서예란 인간의 선행 수련이다
방콕 실버, 건강 수첩 관리 지도
문화예술관
SNN 커뮤니티
전통문화의 맛과 멋을 찾다/ 이재중
조선 왕실의 군사 의례 전시회/ 이순자
202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오하영
202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오하영
월간 소년문학 1월호 발간/ 오하영
대한민국 문학 메카 종합지 발간/ 오하영
우리와 함께하여 온 소(牛) / 이재중
동시 전문지 ‘동시 발전소’ 발간/오하영
월간문학 623호 21년 1월호 발간 /오하영
풀꽃 아동문학회 동인지 ‘풀꽃 향기’ 발간/오하영
우리나라의 살기 좋은 도시.........!!!
활짝핀 선인장꽃
사방 이웃으로 인한 생활방해와피해 사례
아름다운 사람.........!!!
불효자는 웁니다
아름다운 조각
즐거움을 만드는 나날.........!!!
세월 가면 언젠가는.......!!!
땀이 없으면.......!!!
감사한 일..........!!!
뉴스홈
> 인물과 역사 총 기사 건수 : 359 건
전통 장승조각가 타목(打木) 김종흥 명인의 일상
[21-01-18 19:51]
낙동강 풍경소리 숲길, 하회마을 제2주차장 앞에 위치한 목석원은 탈춤을 추며 장승과 솟대를 만들고 살아가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 이수자 장승 명인 타목 김종흥 선생이 거주하는 곳이다.
유엔군 초전기념관은 역사의 현장
[21-01-18 19:24]
'죽미령 전투의 영웅들' 기념 작품에는 전투에 참전한 스미스 특수임무 부대원 540명의 이름과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새겨져 있다. 유엔군 초전기념관 좌측에는 참전국의 국기와 전사한 부대원의 넋을 위로한 기념비가 있다.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7)
[21-01-17 12:41]
타일랜드군은 6·25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21연대 소속 1개 보병대대와 전투함 3척 및 의료 지원부대 3개 반이 1950년 11월에 7일 부산에 상륙하자 최전방 중부 전선인 금화 지구에 투입, 전투에 참여했다.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6)
[20-12-29 01:04]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5)
[20-11-26 08:36]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4)
[20-10-26 18:48]
김만기 묘역과 신도비
[21-01-10 15:27]
김만기(金萬基:1633∼1687)는 효종 4년 문과에 급제해서 여러 벼슬을 역임했다. 그는 숙종의 장인이며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의 소설을 남긴 조선 후기의 문인 김만중의 형이다.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6)
[20-12-29 01:04]
터키군은 미국. 영국. 캐나다와 함께 많은 병력(1개 여단 5,445명)을 파병한 후, 미 제24사단에 배속되어 청천강변 군우리,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안양시 수리산, 의정부, 연천, 퇴계원, 금화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조선의 수치를 설욕하겠다
[20-12-06 12:05]
지난 1905년 일본이 을사늑약을 강제로 체결, 우리나라가 일본에 합병되자 제주가 낳은 애국 선구자인 젊은 유림 12인이 문연서숙에서 의병활동을 결의하며 ‘집의계’를 결성하고 제주시 오라동 연미마을의 망곡단에 모여 ‘조선의 수치를 설욕하겠다’는 뜻으로 바위에 '조설대‘라 새기고 새로운 결의를 다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5)
[20-11-26 08:36]
에티오피아의 캉뉴(kangnew) 대대는 총 6037명이 참전하여 춘천 일대의 중동부 전선에서 총 253회 전투에 참여했다.
애국지사의 삶을 돌아보며
[20-11-07 20:05]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몽양 여운형 기념관을 찾아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친 민족의 큰 스승이자 양심적인 몽양 여운형 선생님의 삶을 살펴보았다.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4)
[20-10-26 18:48]
남한강 강천보(여주시) 6·25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미 제9군단장 브라이언트 에드워드 무어 ( Briyant E.Moore 1884-1951) 육군 소장의 빛바랜 추모비가 전해오고 있다. 무어 장군은 미국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 동기생 중에서 가장 먼저 사관학교장으로 발탁될 만큼 우수한 장군이었다.
6·25 한국전쟁 전적비 순례(3)
[20-09-24 18:02]
최초 이 그리스 참전 기념비가 세워진 건립 배경은 그리스 참전군이 최초 전투인 381 전투 지역으로 큰 승리를 거둔 전투이지만, 4명이 전사한 지역이고 그리스 참전군의 주둔지가 이곳에 머무른 것으로 추정하여 건립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전 페이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 페이지
실버넷뉴스 소개
|
조직도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실버넷뉴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8길 111 우명빌딩 5층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02056
대표전화: 02-3474-2496 ㅣ fax번호: 02-516-1825ㅣ 대표자명: 정태명 ㅣ 이메일:
snnwith@gmail.com
Copyright ⓒ 2018
실버넷뉴스
All rights reserved.